카테고리 없음

쿠바의 역사,역대 수상,대통령

정의파파 2023. 5. 24. 19:52

쿠바(Cuba)의 역사

    1976년 이래 막스 레닌의 사회주의 노선을 택하는 사회주의 국가.

의회는 단원제이며,국가 권력 최고 회의가 최고의 권력기관이다.

국가 권력 최고 회의에서 국가평의회 의원을 선출하고,

국가평의회(Council of States) 의장이 국가의 원수,각료회의의 장이 된다.

행정은 각료회의에서 처리하고,

각료는 국가평의회 의장의 제안으로 전국회의에서 임명

    최근까지도 쿠바와 미국과의 불화로

우리나라엔 사회주의 독재국가로만 인식되어온 나라이다.

실제로 좌익의 영웅처럼 각인된 쿠바의 체게바라가 좌익지원중 볼리비아에서 피살되었고,그 후에도 니카라과 엘살바도르,페루,아르헨티나등의 좌익 게릴라를 지원했으며,자메이카의 마이클 맨리 정권,그레나다의 모리스비숍정권에 고문관과 노동자등을 지원 파견하였고,아프리카의 앙골라 내전과 에티오피아에 쿠바군을 파견하여 그들의 좌익활동을 지원했다.

   특기할 사항은 카스트로 정권은 군사정권이지만,군이 민중의 편에 서서 헌법을 수호하는 혁명의 중추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이며,이러한 경향은 1955년 이후 인근 국가에 영향을 주어,과테말라, 베네주엘라,브라질 ,에콰도르,아르헨티나 등에서도 군부가 독재체제를 전복시키고,민주화를 이룩하려는 움직임이 일었다.

  

B.C.  5,300년쯤 부터 남미의 아마존 지역에서 이주한 Guannajatabey인들이

                  10만여명 쯤 집단을  이루며 생활.

                  그들이 미국 남동부에서  이주한 원주민일거라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들이 경작한 농산물에는 요즘의 담배인 cohiba(tobacco)가 있었다. 

                  원주민과 유럽 이주민들 사이에 혼혈로 메스티소가 생겨났고

                  (mestizo;쿠바인들은 Guajiro라 부름)

                  현재 사용중인 단어-Cuba,Havana,Hurricane,tobacco등도 

                  Taino원주민들의 언어에서 유래한다.

 

1492년10.28콜럼부스가 1차 항해중 쿠바의 동부 바라코아에 상륙했을때 ,

                      50,000여명의 Ciboney인들을 비롯,

                      Arawak로 불리는 Taino족 20여만 명이

                      유카나무,목화,담배,옥수수,고구마등을 경작하며 집단을 이루며 거주.

1494년          콜럼부스,현 쿠바의 남부 관타나모만 항해

1511년          스페인 국왕은 히스파니올라섬에서 3척의 배에 300여명의 군병력과 

                     디에고 벨라스케스 쿠엘라(Diego Velazquez de Cuellar)장군을 파견.

                    -식민지 체제 확립(이후 400여년간)

1514년          산티아고기지 건설(1589년 까지 쿠바의 수도)

                     동부에서 쫒긴 원주민들이 서부 Havana에서 발견됐다.

                     이후 원주민들은 사금채취,농장 노동등에 강제 이용.

1528년         원주민들의 반란 발생

1530년         경 까지 악성 유행병등으로 원주민 거의 전멸

                     ↘부족한 노동력 보충 위해 아프라카에서 흑인 노예100만여명 입국.

                        사탕수수 재배-

                        이후 스페인의 총독령. 본blog. 멕시코의 역사,스페인 총독 참조

 

1812년          미국 독립혁명 영향으로 노예제도 폐지, 농민 착취 반대,독립요구

                     공화제 헌법공포;세스페데스 공화정권 수립-실패

1853년          마드리드 주재 미국대사가

                      "쿠바를 1억5,000만 달러에  미국에 양도하라"고 스페인에 제의

1868년           아폰테의 주도로 흑인 반란-10년 전쟁

1878년           정치,경제의 개혁.노예해방 약속한 산혼조약 체결.10년 전쟁 종식

1888년           노예제도 폐지

1895년           호세 마르티에(쿠바혁명당),

                      스페인이 산혼조약을 불 이행하자 제2차 독립전쟁 시작

                      스페인의 발레리아노 웨일러장군의 강력한 진압

1898년          스페인 병력 20만에 육박

                      쿠바거주 미국인들 보호 문제로 아바나항 정박중 미국 메인호 폭발

                       (1970년의 조사 결과-보일러실 화제로 규명);미군 266명 사망

                       미→스페인에 선전포고;

                       美西전쟁 발발- 4개월만에 스페인 패배-쿠바,미국이 점령

                       미서강화조약체결;"

                       스페인이-쿠바,필리핀,괌,푸에르토리코를 미국에 양도하는대신,

                       미국은- 스페인에 2,000만 달러를 지불한다"는 내용-

                      쿠바,회담에 옵서버로 참석

                       ※가쓰라 테프트 밀약;미국과 일본의 밀약

                        "미국은 필리핀에 대한 권한을 갖고

                         일본은 조선(우리나라)의 영향권한을 갖는다"

                    ↘미서강화조약의 결과 스페인의 총독부왕령이던 필리핀이

                       미국의 권한으로 넘어가자, 필리핀의 수월한 지배를 위해, 

                       미국이 일본과 밀약한 조약

1899년           미군정 실시

1902년           완전독립(파리평화조약 체결) -군정 해체,공화국 헌법 제정,

                       플랫수정조항삽입

                       플랫수정헌법;타국과 동맹 맺을 수 없다.

                       관타나모를 영구히 미국에 임대한다는등

                       미국의 간섭을 인정하는 부당한 조항이 삽입

 

쿠바의 대통령(Presidents of Cuba)

1902년          토마스 에스트라다 팔마(Tomas Estrada Palma)대통령;

                     중도당,(미정부에서 지명)

                     경제권은 미국이 소유

1903년         관타나모항에 미해군기지 설치

1906년 9.29 윌리아 하워드 테프트(Willia Howard Taft)대통령(미국 지명);중도당

           10. 3  촬스 마군(Charles Magoon)대통령(미정부가 지명);중도당 

1909년         호세 미구엘 고메스(Jose Miguel Gomez)대통령;자유당

1912년         아프리카출신 흑인들의 반란-3,000여명 사망

1913년         마리오 가르시아 메노칼(Mario Garcia Menocal)대통령;보수당

1921년         알프레도 사야스(Alfredo Zayas) 대통령;쿠바 민중당연합

1925년         게라르도 마차도(Gerardo Machado) 대통령;자유당(친미)

1933년 8.12 마차도대통령 쿠바를 떠남

             8.12 알베르토 헤레라 프란치(Alberto Herrera y Franchi) 임시 대통령;군정

             8.13 카를로스마누엘세스페데스퀘세다 대통령 대행;A.B.C.혁명회

                    (Carlos Manuel de Cespedes y Quesada)

             9.  5 쿠바 임시정부 집행위원회의 결성

                     (Executive Commiss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r of Cuba)

                     집행위원;

                            라몬 그라우 산 마르틴(Ramon Grau San Martin);쿠바혁명회

                            길레르모 포르텔라 묄러(Guilermo Portela Y Moller);자유당

                            호세 미구엘 이리사리 가미오(Jose Miguel Irisarri Y Gamio);보수

                           세르지오 카르보 모레라(Sergio Carbo Y Morera);쿠바민중당 연합

                            포르피리오 프랑카 알바레스 캄파

                            (Porfirio Franca y Alvarez de la Campa); 자유당

             9.10   라몬 그라우 산 마르틴(Ramon Grau San Martin) 대통령;쿠바혁명당   

1934년 1.15   카를로스 헤비아(Carlos Hevia) 임시 대통령;쿠바혁명당

             1.18   마누엘 마르퀘스 스텔링 로르테 몰라 대통령 대행

                       (Manuel Marquez Sterling y lorte de Mola) (1시간만 수행);N/A

             1.18  카를로스 멘디에타(Carlos Mendieta) 임시대통령 ;국민연합

1935년          호세 아그리피노 바넽트(Jose Agripino Barnet) 대통령 대행;국민연합

1936년 5.20  미구엘 마리아노 고메스(Miguel Mariano Gomez) 대통령;국민연합

           12.24  페데리코 라레도 브루(Federico Laredo Bru) 대통령;국민연합

1940년           헌법개정                       

           10.10 풀젠시오 살디바르(Fulgencio Batista Saldivar) 대통령;CSD당

           10.10 카를로스 사야스(Carlos Saladrigas zayas) 수상;CSD당

1942년 8.16. 라몬 사이딘 마르케스 스텔링수상;CSD당

                      (Ramon Zaydin y Marquez Sterling) 

1944년 5.16   안젤모 알리에그로 밀라(Anselmo Alliegro Y Mila) 수상;CSD

           10.10   라몬 산 마르틴(Ramon Grau San Martin) 대통령;PRC-A당

           10.10   펠릭스 란치스 산체스(Felix Lancis Sanchez) 수상;PRC-A당

1945년10.13   카를로스 프리오 소카라스(Carlos Prio Socarras) 수상;PRC-A당

1947년  5. 1   라울 로페스 카스트로(Raul Lopez del Castillo) 수상;PRC-A당

1948년10.10 카를로스 소카라스(Carlos Prio Socarras) 대통령;PRC-A당

            10.10 마누엘 안토니오 바로나 로레도 수상;PRC-A당

                      (Manuel Antonio de Varona y Loredo)

 1950년10. 6 펠릭스 란치스 산체스(Felix Lancis Sanchez)수상;PRC-A당

 1951년10. 1 오스카 갱스 로페스 마르티네스;PAU당

                      (Oscar B.Gans y Lopez Martinez)

1952년 5.10 풀젠시오 바티스타(Fulgencio Batista)대통령;군부,PAU/PAP당

             5.10 바티스타-출마후 당선 어렵자 쿠데타로 재집권.대통령,수상겸임

                      1913부터 계속되어온 독재,부패,암살과 속임수의 정치로

                       국민들의 감정은 폭발직전. 

                      1913년7.26 몬카다병영 습격 반란-

                      산티아고 교외의 몬카다 병영, 아바나대 학생들이 기습

                  ↘피델 카스트로와 라울 카스트로형제 체포되어 15년의 금고형

1954년 8.14안드레스 도밍고 모랄레스 카스트로

                      (Andres Domingo y Morales del Castillo) 수상 대행;N/A

1955년 2.24 호르게 가르시아 몬테스(Jorge Garcia Montes) 수상;PAP당

                     석방 요구 시위로 카스트로 형제 석방-두사람의 부각

                  ↘카스트로 형제 멕시코로 망명

1956년          카스트로와 7·26습격동지 82명- 체게바라와 함께 비밀 귀국,

                      12명 산중에 은신

1957년 5.26  안드레 리베로 아귀에로(Andre Rivero Aguero) 수상;PAP당

1958년 5. 6   에밀리오 누네스 포르투온도(Emilio Nunez Portuondo) 수상;PAP당

            5.12  곤잘로 구엘 모랄레스(Gonzalo Guell y Morales) 수상;PAP당

                     카스트로-부마에스트라 산에서

                     "7·26동지의 선언"을 방송후 하산하고 게릴라전 개시

1959년 1. 1  안젤모 알리에그로(Anselmo Alliegro) 대통령 대행;PP당

            1월.  바티스타,도미니카연방으로 망명

            1.2.  카를로스 마누엘 피에르다 대통령(일시적);무소속

                    (Carlos Manuel Piedra)

            1.3.  마누엘 우루티아 레오(Manuel Urrutia lieo) 대통령;무소속

            1.5   호세 미로카르도나(Jose Mirocardona) 수상;무소속 

            5월.  농지개혁법 발표-대지주,대기업의 토지,농지 몰수

                    석유법등 기본법 제정

           7.18  오스왈도 도르티코스 토라도 대통령;ORI/PUSC/PCC당

                    (Osvaldo Dorticos Torado)

1960년 2월  피델 알레얀드로 카스트로 루즈수상;M-26-7/USC/PCC당.

                    (Fidel Aljandro Castro Ruz)  

             9월 미군-아바나등 3개도시 폭격-침공 3일만에 패퇴,제1차 아바나 선언

                    대기업의 국유화법-미국의 재벌사 접수

1961년       미국과 국교 단절

                     반 카스트로군 쿠바침공(미국에 망명한 쿠바인으로 조직된 군대)

                     쿠바사회주의 혁명통일당 창당,피델 카스트로-제1서기

1962년         소련,중거리 미사일 쿠바에 반입 시도.

                    -미국(케네디),쿠바의 해상봉쇄-쿠바위기 발발 

                     미주기구(O.A.S.)에서 축출

1964년         멕시코를 제외한 라틴 아메리카제국과 국교 단절;

                      미국의 대 쿠바 경제봉쇄 강화조치로 고립된 결과

1965년          쿠바사회주의 혁명통일당을 공산당으로 개칭

1966년          3대륙 인민연대회 개최,라틴아메리카 인민연대기구 설립

1970년          칠레와 복교(칠레에 아옌데의 좌파정권 들어서자-)

1973년          페루,가이아나,자메이카,트리니다드 토바고,바베이도스,

                      아르헨티나와 국교정상화

                      미국과 항공기 공중납치 방지협정 체결

1976년          국가기본헌법 개정

                      ※ 각 정당의 명칭

                       M-26-7당;7월 26일 혁명운동당

                       ORI당;Organizaciones Revolucionarias Integrades-전진혁명조직

                        PAP당;Partido Accion Progresista-진보행동당

                        PAU당;Partido Accion Unitaria-연합행동당

                        PCC당;Partido Communista de Cuba-쿠바공산당

                        PP당;Partido Progresista-전진당

                        PRC-A당;Partido Revolucionaro Cuban-Autentico; 쿠바혁명당

                        PUSC당;Partido Unido Socialista de Cuba-쿠바사회혁명연합당

1976년12월  피델 알레얀드로 카스트로 루즈

                      (Fidel Aljandro Castro Ruz) 초대 국가평의회 의장

                      부의장;Raul Castro

                   * 국가평의회의 의장(Presidents of the Council of State of Cuba)

1980년           카터의 미 행정부와 화해

1881년           긴장 완화 위한 회담

1982년           소련으로 부터 SA3지대공 미사일 140기 지원 받음 

1990년           미국,대쿠바 선무공작방송-TV Marti 송출

1991년           소련의 원조 중단

1992년           국가기본법 개정(민주화법 도입)

1994년           미국과 이민협의 체결

1995년           중남미 핵무기 금지 조약 체결

                       외국인 투자법 제정

1996년           쿠바의 미국 민간기 격추사건으로 관계 냉각

                       자유민주 연대법제정(Helms-Burton)

                       카스트로-교황청방문

1998년           로마교황 바오로 2세 쿠바 방문

                       바티칸 요청으로 정치범 300명 사면

1999년           미,대쿠바 경제제재 일부완화

2002년           카터 전 미국 대통령 방문

                       핵확산 금지 조약 체결(N.P.T.)

2003년            반체제 인사 75명 구속

                       미국의 부시,쿠바민주화를 위한 입장 발표

2004년           쿠바내 미 달러 통용 금지

2006년           피델 카스트로의 투병으로 동생 라울이 한시적 정권 수임

                       라울 카스트로,미국과 대화 제의

                       미 의회 대표단 사상 처음 쿠바 방문

                       병역법 개정;17∼28세 남녀가 2년간 의무 복무

2007년           미의 관타나모 기지 폐쇄 촉구하는

                       국제 인권 단체의 쿠바 평화 행진 시위 발생

2008년 2.19   피델 카스트로,국가원수직 사임(49년간의 철권 통치),

                       공산당 제1 서기직은 유지

2008년 2.24   라울 카스트로,2대국가평의회 의장겸 각료회의 의장.

                        (Raul Modesto Castro Ruz)

                      ↘쿠바 혁명후 49년간 국방장관

                         부의장;호세 라몬 벤추라(Jose Ramon Machado Ventu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