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남아메리카와 멕시코의 역사
4만년 전의 발자욱과, 2만년전 부터 원시인들이 수렵 생활을 했던 흔적이 발견되고 있고, B.C.1,500년경부터 촌락을 형성했던 유물이 발굴된다. 하지만 명확한 중남미의 역사는 신대륙 발견 이후부터 시작된다.
그 이전 원주민인 인디오들이 이루었던 거대한 부족과 찬란한 문화는, 서방 각국의 잔인한 식민지 쟁탈의 결과 그 자취만 남았을 뿐이다.
중미에는 아즈텍족이 12-13세기경 북방으로 부터 이주해와 지금의 멕시코에 세력을 펼치고 있었고
(인구;30만명, 당시 영국 런던 인구;20만명)
남미에는 잉카족이, 콜롬비아에서 칠레의 3000마일에 이르는 지역과, 태평양 연안에서 아마존 정글에 이르는
대부분의 대륙을, 페루의 쿠스코에 수도를 정하고 지배하고 있었다(태양신 숭배)
콜롬부스가 신대륙을 발견한후 80년간 스페인 본토에서만 16만명이 신대륙으로 이주했을 정도로
중미와 남미 공히 스페인,포루투갈,영국,프랑스등의 식민지 쟁탈 현장이었다.
1492년10월, 콜롬부스가 워틀링섬을 발견 ,산살바도르라 명명하고 11월에는 쿠바를,12월에는 산토 도밍고를 발견하여 최초의 식민지 기지를 구축했다. 당시 산토 도밍고는, 인디언 인구20만의 거대한 도시였지만,
20년후14,000명 30년후에는 200명으로 몰락하여 그들의 비참한 최후를 상상할 수 있을 뿐이다.
원주민들은 전쟁과 천연두의 이중전쟁으로 시달렸다(이방인에게서 천연두전염으로 1,800여만명 사망)
1493년 콜롬부스는 2차 항해를 시작하여 푸에르토 리코에 상륙했고, 산토 도밍고로 돌아와 요새를 보강했다.
그해에 자메이카에 상륙했고 각 섬들의 원주민들을 장악하여 노동력을 제공받았다.
스페인은 콜롬부스의 진출을 필두로 북쪽 리우그란데에서 남쪽 혼곶에 이르기까지 브라질을 제외한 대륙의 대부분을 점령하여 오늘날 남미가 스페인 문화권에 속하는 계기가됐다.
이후 각국의 쟁탈전과 원주민 혹은 이주민2세들의 활약으로 1804년 부터 1825년 사이 20년간 라틴 아메리카의 식민지들이 모두 독립하였고 300년간의 이베리아 식민지 체제가 몰락했다.
남부에서 호세 데 산 마르틴, 북부에서 시몬 볼리바르의 활약으로 식민지로부터 독립하는 계기가 이루어져
두사람은 남미의 지도자로 숭상 받고있다. 두사람 모두 다 크리오요 신분이었는데,
식민 말기시대 남미의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인구;1,700만명
인디언;750만, 물라토(인디언과 스페인혼혈);530만,
흑인(아프리카에서 이주);77만
백인;320만(본국→페닌술라르;30만, 현지→크리오요;290만명)
B.C. 3000년 중반, 북아메리카 인디언 남하- 서부 과테말라고지 정착
B.C. 2000년경,유카탄반도 부근에서 북쪽 페텐저지에는 유카테크어 족이,
멕시코만에는 아스텍어족이거주.
B.C.1000년경 촐과 촌탈 부족이 중앙고원 습지에서 유카테크어족과 접촉.
A.D. 300년 사이 올텍,믹스텍,이자파,마야,자포텍,후아스텍, 타라스칸,톨텍,
아즈텍의 부족들이 거주했었다.
그즈음, 멕시코만과 오악사카 계곡에는 사포텍문명이 자리잡기 시작.
마야문명과 멕시코
마야문명은 기원 전후에, 중앙아메리카의 과테말라북부 페텐지방부터,
동쪽으로는 벨리스,
서쪽으로는 멕시코 타바스코에 이르는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A.D.300년에서 900년 사이의 황금시기를 지나 1,000년쯤 멸망하였다.
기원전후∼A.D.374년; 고대도시 우아작툰(과테말라 국경 페텐 부근),
온두라스에 코판시 생성
374년∼472년; 고대도시, 멘체가 치아파스,과테말라지역에 퀴리구아 형성
472년∼610년;세이발,익스쿤,프로렌스등 도시건설
수학이 발달하여 20진법을 사용했으며,
천문학이 발달하여 수학,천문학과 연관된 曆學을 이용,
주술사 가 정권을 잡고 백성을 개인의 소유물처럼 다뤘다.
(산사람들을 제물로 신께 바친 흔적들이있음)
옥수수를 경작했고, 일부상인들은 카리브해의 다른 부족과 교역했다.
대표적 건축물;치첸이트사(chichen itza)→
7c.에 케찰코아틀에 의해 건립된후 13c.까지 여러번 복구.
초기는 마야문명 후기는 톨텍문명에 속한다.
※ 케찰코아틀(Quetzalcoatl); 카카오나무의 신
이밖에 신전,구기장,시장,묘,수도원등의 유적이 발굴된다.
발달된 수학과 천문학은 현대와 거의 차이없는 曆法으로 짐작할 수 있다.
1년을 365.2420일(현대;365.2422일)로-,
달의 운행주기를29.5320일(현대와 0.00039일 오차),
금성의 운행주기를 580일(현대와 0.08일오차)로 계산.
이즈음 유카탄에서는 52년 주기로 세상이 바뀐다고 생각해,
52년 마다 새로운 도시를 건설해 이동한 흔적이있고,
중부 고원 쪽에서는
52년 주기로 기존의 피라미드옆에 새 피라미드를 건설한 흔적이있다.
※ 브리테니커 사전은 마야문명이
우리나라의(韓民族) 문화와 흡사하다고 기록했다.
원주민의 언어;그네,코신,낫,아파치,암마,아바,아마니.
한국인의 언어;그네,꽃신,낫,아버지,엄마,아빠,어머니.
원주민과 한국인의 사용도구;
디딜방아, 어망,광주리,소쿠리,물레,도자기,맷돌,두레박,윷놀이 등
멕시코의 테오티우아칸 문명 (갑자기 사라진; 미스테리의 문명) ;
→ 톨테카족이 발굴
B.C.400년 쯤 테오티우아칸고원(멕시코시티에서 북동쪽 50㎞)에
500여명이 거주했다.
중앙고원에 톨텍,마야,치첸이차,욱스말문명등 여러부족이 거주하는중
A.D.100년에서 200년경 톨테카족이 마야족을 지배하여 큰 부족을 형성.
A.D.10년 쯤 도시 건설 시작 700년에는 13만이라는 인구가 거주하여
당시추정 세계 6번째의 거대한 도시를 형성하고있었다
"죽은자의 길"은 폭 40~100m,거리가 2.5㎞~6㎞,
옆으로는 수많은 피라미드가 나열 되어있다.
그중 달의 피라미드라는 건축물은 바닥이 사방 200m, 높이가 63m이고
주변에는 15개의 피라미드가 있다.
멕시코의 아스텍 문명(코콤왕조)
1248년 아즈텍족이 북방에서 이주, 톨테카족을 누르고 아즈텍문명, 코콤 왕조 건국
1300년 중앙고원 텍스코코호 늪지에 인공섬을 만들고 정착
1325년 테노치 치틀란(Tenochtitlan)건설
테노치(Tenoch); Tuna de Piedra;돌의 선인장이라는 뜻
1345년 수도; 테노치 치틀란 (현 멕시코시티). 인구; 30만.(당시 영국 런던 20만)
1375년 왕 선출; 통치자를 웨이 "틀라토아니"라 부르고 언어는 "나우아틀" 어.
1377년 초대 통치자 ;아카마피치틀리
Acamapichtli; El Que empuna la cana;사탕수수 전문가라는 뜻
1390년 2대;휯칠리휫틀(Huitzilihuitl; Pluma de colibri;참새 깃털의 뜻)
1418년 3대;침말 포포카(Chimal Popoca; Escudo Que humea;연기 구멍의 뜻)
1427년 4대;이즈코틀(Izcoatl ;Serpiente de pedernal;냉혹한 뱀의 뜻)
1440년 5대;목테수마(Moctezuma; Ilhuicamina Flechador del cielo;하늘궁사 뜻)
1469년 6대;악사약틀(Axayacatl; Cara en el agua;비의 얼굴의 뜻)
1481년 7대;티족(Tizoc; pierna enferma;다리병신의 뜻)
1486년 8대;아휘조틀(Ahuizotl; perro del agua;물개의 뜻)
1502년 9대;목테 수마 쇼코욭친
(Moctezuma Xocoyotzin; senor joven y sanudo;화잘내는 뜻)
1519년 스페인의 에르난 코르테스를 신으로 섬김
1520년 10대;퀴틀라우왁(Cuitlahuac; Excremento seco;마른 똥의 뜻)
1521년 11대;콰우테목(Cuauhtemoc; Aguila que cae;떨어진 매의 뜻)
아즈텍족의문명; 포장된 도로의 중간지점에 착색끈을 박아놓아
중앙분리선을 두었다.
천문학,수학,의학,신학이 발달했고,
세계의 시작이 B.C. 3114년8월 13일,
세계의 종말이 2012년 12월 23일 이라 예언(?)하였다.
15세기 중반쯤,
내란으로 코콤왕조가 쇠퇘하자 유카탄 반도는 10여개의 소국으로 분리됐다.
당시 인구는 2,500만명 쯤이었으나 16세기에는 200만명 정도만 잔존했다.
※테노치치틀란; 선인장의 마을이란 뜻(도시 이름이 평화롭다)
멕시코의 스페인 부왕 이전의 스페인人 통치자들
1519년 에르난 코르테스(Hernan Cortes)
1524년 A Lonso de Estrada-Luis Ponce de Leon-Marcos de Aguilar
1527년 Nuno Beltran de Guzman
-Gonzalo de Salazar-Sebastian Ramirez de Fuenleal
멕시코의 누에바 에스파냐(신 스페인);스페인의 통치 시기
1519년 스페인의 코르테스, 베라쿠르스에 상륙(수백명),
아즈텍국의 내분을 이용, 20만명의 원주민과 동맹
목테수마2세 국왕을 폐위.
콰우테모크를 왕으로 추대(내전중 패전하여 교수형당함)
원주민 사이에 유럽으로부터 전염된 천연두 창궐
1521년 아즈텍 왕국 멸망. 이후300년간 누에바 에스파냐(new Spanish),
스페인 副王이 통치, 전염병 창궐(천연두로 추정)
1526년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데몬테로, 마야문명의 생존자를 마지막 정벌
1528년 스페인의 도미니크 수도회 소속 선교사, 옥사카지방 최초 선교,
이후 400년간 원주민들은 언어나 문자없이 카톨릭을 그들의 종교로
1529년 코르테스, 파나마운하 굴착 건의(스페인 카를로스 5세에-)
1530년 코르테스,도독으로 취임
홍역창궐
1531년 테페악 산에서 "과달루페의 성모마리아" 발현(원주민 디에고에게-);
원주민 800만명 개종자 탄생
1533년 과달루페 성당 완공
스페인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카스틸레 관구소속 사제7명 멕시코에도착,
밀 옥수수등 재배법 전파
(스페인;카를로스Ⅰ세 국왕)
1535년 안토니오 드 멘도사(Antonio de Mendoza);1대 스페인 부왕(副王)통치,
절대 지배 체제.이후 1821년까지 61명의 총독이 지배(수도;멕시코시티)
멕시코 최초 도시 푸에블라 형성(멕시코시티에서 136㎞)
미초아깐에서 은광 발견
아메리카 대륙 최초 인쇄기 도입,책의 출판
1539년 "후안 데 주마라가" 주교→활판인쇄소,제지공장 설립.
1540년 신임총독 부임,코르테스 본국으로 귀국.
스페인의 모테요(호?) 멕시코만 유카탄반도에 캄페체요새 구축
프란시스코 바스케스 대 코로나도→북미 금 원정대 조직;그랜드 캐년 발견
1545년 전염병 창궐.(천연두로 보이나, 2007년, 쥐가 숙주인 토착병 설 대두
자카테카스에서 은광 발견
1549년 스페인의 Diego Landa(프란치스코회 수도사) 유카탄 반도에 포교
1550년 루이스 발라스코(Luis de Valasco,신부); 2대 부왕;통치
아카풀코항 개항
1551년 국립 자치대학교 설립
1561년 예산의 30%를 과달라하라 대성당 축조(향후 60년후 완공)
1562년 이단이라는 이유로 원주민 수십명 처벌(란다 사제)
1565년 아우구스티노수도사 필리핀으로 파견
→미구엘 로페스 레가스피 -필리핀 세부에 도착
(스페인; 펠립페(합스부르그家) Ⅱ세 국왕)
1566년 가스톤 페랄타(Gaston de peralta); 3대 부왕
란다 주교,유카탄 견문기 서방 세계에 공개
1567년 필리핀 원정대장 미구엘을 필리핀 제도 초대 총독에 임명;
↘미구엘은 필리핀을 스페인 국왕의 이름을 따서
펠리페 2세의 땅-필리핀이라 명명
1568년 마틴 엔리퀘스 알만짜(Martin Enriquez de Almanza); 4대 부왕
1569년 돌을 중심으로 돌며 춤추는 종교의식의 대상인
"Aztec calenda stone"을 땅에 묻으라 명령
춤을 일요일이나 축제때만 추도록 제한.→멕시코의 전통춤이 됨
1572년 베르날 디아스 델 카스티요, "멕시코정복의 역사" 저술
1573년 멕시코시티 대성당 축조시작(1791년 완공)
1575년 과달루페 성당 완공,
푸에블라 대성당 착공(1649년 완공),
산토도밍고 성당 착공(1611년완공)
1576년 전염병 창궐.
1580년 5대 부왕;로렌쪼 수아레스 멘도사(Lorenzo Suarez de Mendoza)
카카오 열매 스페인으로 보내짐→초콜릿 전파의 시초
1584년 6대 부왕; 빼드로 모이 콘트레라스(Pedro Moy a de Contreras)
1585년 7대 부왕; 알바로 만리크 유니가(Alvaro Manrique de Zuniga)
1590년 8대 부왕; 루이스 벨라스코(Luis de Velasco;hijo);
1595년 9대 부왕; 가스파 유니가 아체베도(Gaspar de Zuniga y Acevedo);
(스페인 펠립페(합스부르그家)Ⅲ세 국왕)
1603년 10대 부왕; 후안 멘도사 루나(Juan de Mendoza y Luna);
1607년 11대 부왕 ;루이스 벨라스코 (Lis de Velasco;hijo);
1611년 12대 부왕; 푸라이 하르시아 구에라(Fray Garcia Guerra);
1612년 13대 부왕 ;디에고 페르난데스 코르도바(Diego Fernandez de Cordoba);
(스페인 펠립페(합스부르그家)Ⅳ세 국왕)
1621년 14대 부왕; 디에고 까릴로 멘도사 페멘텔
(Diego Carrillo de Mendoza y Pememtel)
중앙고원 부근 인구 3,000만명에서 160만명으로 격감
1624년 15대 부왕; 로드리고 빠체꼬 오소리오(Rodrigo Pacheco y Osorio);
1635년 16대 부왕; 로페 디에스 아르멘다리스(Lope diez de Armemendariz);
1640년 17대 부왕; 디에고 로페스빠체꼬 카브렐라보바딜라
(Diego Lopez Pacheco Cabrera y Bobadilla);
1642년 18대 부왕; 후안빠라폭스 멘도사Juan Palafox y Mendoza);
1642년 19대 부왕; 가르시아 사름;엔토 소토마이어Garcia Sarmiento de Sotomayer);
1648년 20대 부왕 ;마르코스 토레스 루에다Marcos torres Y Rueda);
1650년 루이스 엔리퀘스 구스만Luiz Enriquez de Guzman);21대 부왕
1653년 22대 부왕; 프란시스코 페르만데스 꾸에바
(Francisco Fernandez de la Cueva)
1660년 후안 레이바 쎄르다(Juan de Leyva de la Cerda);23대 부왕
1664년 24대 부왕; 디에고 오소리오 에스코바르 라마스
(Diego Osorio de Escobar y Llamas);
1664년 25대 부왕; 세바스챤 톨레도 몰리나 살라자르
(Sebastian de Toledo Molina y Salazar)
(스페인;까를로스(합스부르그家)Ⅱ세국왕)
1672년 뻬드로 누노 꼴론 포루투갈Pedro nuno Colon de Portugal);26대 부왕
1672년 프라이 빠요 엔리퀘스 리베라(Fray Payo Enriquez de Rivera);27대 부왕
1680년 안토니오 쎄르다 아라곤(Antonio de la Cerda y Aragon) ;28대 부왕
1686년 29대 부왕; 멜콜 뽀르또 까레로 라쏘 베가
(Melchor Porto Carrero y Lasso de la Vega)
1688년 30대 부왕; 가스파르 쎄르다 산도발 실바 멘도사
(Gaspar de la Cerda Sandobal Silva y Mendoza)
1696년 후안 오르테가 몬타네스(Juan Ortega y Montanes);31대 부왕
1696년 호세 사르미엔토 발라다라스(Jose Sarmiento y Valladares);32대 부왕
(스페인;펠리페Ⅴ세 국왕)
1701년 후안 오르테가 몬타네스;33대 부왕
1702년 프란시스코 페르난데스 꾸에바 엔리퀘스;34대 부왕
1711년 페르난도 알렌카스트레 노로마 실바;35대 부왕
1716년 발타사르 수니가 구스만;36대 부왕
1722년 후안 아퀴냐 만리케;37대 부왕
1734년 후안 안토니오 비자론 에퀴아레타;38대 부왕
1740년 뻬드로 가스트로 피구엘롸;39대 부왕
1742년 뻬드로 쎄브리안 아구스틴;40대 부왕
(스페인;페르난도Ⅵ세국왕)
1746년 후안 프란시스코 귀네스 호르카시타스;41대 부왕
1755년 아구스틴 아후마다 빌라론;42대 부왕
1760년 프란시스코 카지갈 베가;43대 부왕
(스페인;페르난도Ⅵ세국왕)
1760년 호아퀸 몬쎄랏;44대 부왕
1766년 카를로스 프란시스코 크로익스;45대 부왕
1771년 안토니오 마리아 부카롤리 우르슈아;46대 부왕
1779년 마틴 마요르가;47대 부왕
1783년 마티아스 갈베스;48대 부왕
1785년 베르나르도 갈베스;49대 부왕
1787년 알론소 네네스 하로 뻬랄타;50대 부왕
1787년 마누엘 안토니오 플로레스;51대 부왕
(스페인;카를로스Ⅳ세 국왕)
1789년 후안 비쎈테 귀메스빠딜라 ㅎ스카시타스 아과요;52대 부왕
1794년 미구엘 그루아 탈라만카 브란시폴테;53대 부왕
1798년 미구엘 호세 아잔사;54대 부왕
1800년 펠릭스 베렌구엘 마르퀴나;55대 부왕
1803년 호세 이투리가라이;56대 부왕
(스페인;페르난도Ⅶ세 국왕)
1808년 뻬드로 가리바이;57대 부왕
1809년 비레이 프란시스코 야비에르 리잔나 뷰몬;58대 부왕
1810년 프란시스코 야비엘 베네가스;59대 부왕
중앙 아메리카 연방공화국
1823년 중앙아메리카 연합주(Provincias Unidas del Centro de America)
1824년 중앙아메리카 연방공화국(Repubica Federal de Centroamerica)
1823년 과테말라,니카라과,엘살바도르,온두라스,코스타리카등 5개국,
→미국을 모델로 연방공화국 개국. 호세 세실로 델 바예 대통령
1825년 마누엘 호세 아르세 대통령
1829년 호세 프란시스코 바룬디아 과도기 대통령
1830년 로스알토스카국이 동참
프란시스코 모라잔대통령(분할된국가의 원수역할)
1838년 내전발발
1840년 연방와해
멕시코의 역사,역대 대통령
미구엘 이달고(크리오요신분,사제;돌로레스 거주) 의 반란,
파옥한 600명의 부락민들과 멕시코시티로 진군
과달라하라시 점령, 신정부 조직, 노예해방,
인디언의 토지회복 선언→돌로레스의 부르짖음
1811년 혁명군 패퇴. 이달고 스페인군에 체포되어 처형
1813년 60대 부왕; 펠릭스 마리아 깔레가 레이
모렐로스(크리오요신분,사제;칠판싱고 거주)의 반란→ 의회소집,독립선언
1815년 스페인군→ 칠판싱고시 점령 의회해산,모렐로스 처형
빈센테 게레로 지휘로 게릴라전
미국인, 멕시코로부터 현 미·서부지역 토지공여받음
1816년 후안 루이스 아포다카;61대 부왕
1821년 62대 부왕; 후안 도노유
이투르 비데(크리오요신분,군인), 이구알라선언(헌법발표);
→멕시코 독립,코르도바협정
코르도바협정;멕시코는 독립된 입헌정치국이다.
스페인의 왕으로 페르난도를 인정한다.
카톨릭을 국교로 한다.
모든 주민은 평등하다.
국왕파 크리오요들은 독립파로 전향, 이투르 비데에 협력. 독립 가속화
산타아나의 반란,실패하여 국외로 추방됨
초기 멕시코황제 시대
1822년 이투르비데1세를 멕시코황제(Agustin de Iturbide)로 추대(멕시코의회)
1823년 페드로 셀레스테너 네그레테(Pedro Celestino Negrete)군사 쿠데타
이투르 비데 멕시코에서 추방,의회→공화국 선포
산타아나 멕시코에 밀입국했으나 체포된후 총살형
1824년 미국헌법을 모델로 헌법제정-공화정치의 시작
10.10 과달루페 빅토리아(Guadalupe Victoria,펠릭스 페르난데스) 선출
1829년 4. 1 초대 대통령 빈센테 게레로(Vincente Guerrero)
(지방분권파,산타아나의 지지받았음)
12.18 호세마리아 보까네라(Jose Maria Bocanegra) 대통령
12.23 페드로 벨레즈(Pedro Velez) 대통령
1830년 1. 1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Anastasio Bustamante) 대통령
미국인들에 미·서부지역 토지를 한계이상 공여 금지
(더 이상의 이주 금지)
1832년 8. 13 멜콜 뮤 �(Melchor Muzquiz)대통령
12. 25 마누엘 고메스 페드라자(Manuel Gomez Pedraza) 대통령
1833년 4. 1 발렌틴 고메즈 파리아스(Valentin Gomez Farias) 대통령
자유주의자들의 반란
5.15 안토니오 로페스 싼타 안나(Antonio Lopez de Santa Anna) 대통령
6. 3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Valentin Gomez Farias) 대통령
6.18 안토니오 로페스 싼타 안나(재집권)
7. 5 고메스(재집권)
10.27 싼타 안나(재차집권)
12.16 고메스(재차집권)
1834년 4. 24 싼타 안나(재집권)
텍사스거주 미국인 주민의 반란;노예제도 금지하는 멕시코에 반발
1835년 7.27 미구엘 바라간(Miguel Barragan)대통령
1836년 3. 1 호세 유스토 꼬로(Jose Justo Corro) 대통령
3월 알라모전투에서 미군을 격퇴
4월 산하신토 전투에서 미·샘 휴스턴 장군에패퇴,산타 안나체포됨
이후 10년간(1836-1845) 멕시코의 텍사스는 독립공화국.
1837년 4.18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Anastasio Bustamante)대통령
1838년 프랑스군 베라크루스항 봉쇄
1839년 3.20 안토니오 로페스 산타 안나(Antonio Lopez de Sannta Anna) 대통령
7.11 니꼴라스 부라보(nicolas Bravo) 대통령
7.19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Anastasio Bustamante)
1841년 9.21 프란시스꼬 야비엘 에케베리아(Francisco Javier Echeverria)대통령
10.10 안토니오 로페스 싼타 안나(Antonio Lopez de Santa Anna) 재집권
1842년10.25 니꼴라스 부라보(Nicolas Bravo) 재집권
미국 외교관 스티븐스 "치아파스·유카탄 여행잡기" 발행;마야문명소개
1843년 3. 4 안토니오 로페스 싼타안나 재차집권
윌리엄 히클링 프레스콧,"멕시코원정" 발행;아스텍제국 소개
10. 3 바렌틴 카날리조(Valentin Canalizo) 대통령
1844년 6. 4 안토니오 로페스 싼타안나 대통령 재차집권
9.11 호세 야킨 헤레로(Jose Joaquin de Herrero) 대통령
9.21 발렌틴 까날리조(Valentinn Canalizo) 대통령
12. 7 호세 야킨 헤레로(Jose Joaquin de Herrero) 대통령(자유주의)
1945년 미, 멕시코 전쟁발발; 미국정부가 택사스를 28번째 주로 편입 사건-.
1846년 1. 4 마리안노 빠레데스 알릴라가(Mariano Paredes Y Arrillaga) 대통령
미군,뉴멕시코 지방 점령; 정착 미국인들 미군 지원
7.27 니꼴라스 브라보 대통령
8. 5 호세 마리안노 살라스(Jose Mariano Salas) 대통령
12.24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Valentin Gomez Farias) 대통령
1847년 3.20 안토니오 로페스 싼타 안나(Antonio lopez de Santa Anna) 대통령
멕시코,미국전쟁- 싼타 안나 패하여 북방영토 상실,멕시코시티 함락
유카탄지역 마야인들의 반란
4. 2 페드로 마리아 아나야(Pedro Maria Anaya) 대통령
8.26 마누엘 뻬냐(Manuel de La Pena Y Pena) 대통령
11.13 페드로 마리아 아나야 대통령
1848년 1. 8 마누엘 뻬냐 대통령
미국과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 체결;애리조나,콜로라도 서부,
네바다주,유타주,텍사스주,켈리포니아주,뉴멕시코주 등 국토 상실
6. 3 호세 야킨 헤라(Jose Joaquin de Herrera) 대통령
1850년 산타안나 프랑스 망명중 껌의 원료 치클을 반출
→미국의 아담스가 껌볼 재작 시판
멕시코에 성경 최초 전래
1851년 1.15 마리안노 아리스타(Mariano Arista) 대통령
1853년 1. 6 후안 바우티스타 세발로스(Juan Bautista Ceballos) 대통령
2. 8 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니(Manuel Maria Lombardini) 대통령
4,20 안토니오 로페스 싼타 안나 대통령
8.15 마틴 까레라(Martin Carrera) 대통령
9.12 로물로 디아스 베가(Romulo Diaz de la Vega)대통령
10. 3 후앙 알바레스 베니테스(Juan Alvarez Benitez) 대통령
1855년 9.15 이그나치오 꼬몬 폴트(Ignacio Comonfort) 대통령
전후 재편성기(Reform War)
1858년 1.19 베니토 후아레스 가르시아(Benito Juarez Garcia) 대통령
개혁단행(La Reforma),헌법제정
새헌법 반대의 보수파와 헌법 수호의 자유주의, 충돌
→1861년까지 내란 발생
1.21 펠릭스 줄로아가(Felix Zuloaga) 대통령
12.24 마누엘 로블레스 페주엘라(Manuel Robles Pezuela) 대통령
개혁시도,헌법제정
1859년 1.21 미구엘 미라몬(Miguel Miramon) 대통령
1860년 8.13 호세 이그나치오 파본(Jose Ignacio Pavon)대통령
유카탄 지역 마야인들의 반란
8.15 미구엘 미라몬(Miguel Miramon)대통령
12.28 펠릭스 주로아가 대통령(재임)
1861년 3.3 베니토 후아레스그라시아 (Benito Juarez Garcia)대통령취임
인디언출신 ,자유주의 헌법제정,정교분리(교회재산몰수);프,개입초래
(프) 미국의 남북전쟁 틈타 멕시코에 나폴레옹3세 파견
영국,프랑스,스페인3국 런던회담;
멕시코의 채무불이행 선포로 무력간섭,관세차압 결정
2차 멕시코 황제 시대
1863년 훈타 레겐시아(Junta de Regencia) 대통령
3만6천 프랑스군 멕시코시티 점령
7.11 후안 네포무세노 알몬테(Juan Nepomuceno Almonte) 대통령 저항운동
7.11 호세 마리안노 살라스(Jose amariano Salas)대통령 저항운동
10.19 팔라지오 안토니오 (Pelagio Antonio de Labastido Y Davalos)대통령항전
1864년 4.10 프랑스의 막시밀리안 대공 멕시코왕즉위
(Fernando Maximilliano de Habsburgo)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출신;프랑스군과 멕시코 보수파의 지지로-)
1866년 유럽정세의 변동으로 나폴레옹3세 프랑스군 철수,막시밀리안 처형
멕시코의 대통령
1867년 5.15 베니토 후아레스(Benito Juarez) 대통령 멕시코시티 다시 장악
1872년 7.19 세바스챤 레르도(Sebastian Lerdo de Tejada) 대통령
1876년10.31 호세 미리아 이글레시아스(Jose Maria Iglesias) 대통령
11.28 후안 멘데스(Juan N. Mendez) 대통령
호세 델 라 쿠르즈 포르피리오 디아스 반란
1877년 2. 17 호세 델 라 쿠르즈 포르피리오 디아스(Porfirio Diaz;혼혈인),대통령취임
후에 1911년까지 영향을 끼침
프랑스 격퇴,멕시코 근대화의 아버지,경제재건했으나 빈부격차 심화,
기득권자들과 종신집권을 추구했다.→정치의 후퇴
1880년 마누엘 곤잘레스(Manuel Gonzalez) 대통령(실권자;디아스)
1882년 텔레포니차 멕시카나 전화국 개설
1883년 식민조례공포;토지개척위해 외국자본,이민자 적극유치
영국계 멕시코인 마이에스(유카탄 농장주협회 대리인)
→아시아에서 이민자 모집
↘한국의 노예 이민자들 에네겐 농장에 1,033명 이주
1884년 12 .1 포르피리오 디아즈 대통령 재집권
1903년 무선국 설치
1906년 테오치우아칸 유적 발굴(멕시코독립 100주년 사업)
1910년 프란시스코 마데로,디아스 당선을 무효라 선언.-멕시코혁명
불평등 분배구조,노동자들의 처우악화,토지소유제 강화가 기폭제로,
혁명군의 할거 →독재자 디아스 사임
북쪽;판초비야(빈농출신),베누스티아노 카란사(귀족출신),
알바로 오브레곤(군인,귀족출신)의 봉기
남쪽;에밀리아노 사파타(농노인 아시엔다의 해체를 주장)의 봉기
당시 문맹율 77%
1911년 5.25 프란시스코 레온(Francisco Leon de La Barra) 대통령 취임(혁명가)
노동자,농민의 그동안 쌓인 불만으로 개혁요구,반란과 쿠테타 계속
11. 6 프란시스코 마데로(Francisco L.Madero) 대통령취임
변호사 출신,온건자유주의자
민주화에 전념-토지개혁,사회정의 추구했으나→혁명세력과의 불화
민주주의 혜택으로 언론자유얻은 신문들-마데로를 비난,공격;
그 신문사주들은 마데로의 개혁 대상인, 교회실권자나 대농장주.
1913년 2.18 페드로 라스쿠라인 빠레데스(Pedro Lascurain Paredes) 대통령
1913년 2. 웨르타,멕시코시티에서 발생한 쿠테타에 가담
7.14 빅토리아노 웨르타(Victoriano Huerta Ortega,) 의 쿠데타→ 의회해산
빅토리아노 웨르타; 군 참모총장, 디아스의 심복.
미국대사 헨리 윌슨과 밀담후 쿠데타 감행, 마데로 체포 처형.
→판초비야 등의 내란으로 발전
언론은 환호하고 오히려 군사독재를 옹호 보도
결과 →이때 이후 1970년 초 까지 언론은 통재됐다.
1914년 7.15 프란시스코 카르바얄(Francisco S. Carvajal) 정권 수복; 대통령
웨르타 스페인으로 망명
(마데로 추종자인 판초비야,카란사,오브레곤,사파타의 연합군 등)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반군인 연합군에게 무기제공
8.20 베누스티아노 카란사(Venustiano Caranza) 임시정부 수립,대통령 취임
미군 베라쿠루스항 점령
11. 6 율라리오 구티에레즈(Eulalio Gutierrez) 대통령
1915년 1.16 로케 곤잘레스 가르자(Roque Gonzalez Garza) 대통령
미국에서 활동한 영화배우 안소니 퀸 북부 치와와에서 출생
스페인 망명 웨르타,미국방문중 체포, 블리스 요새 구금후 사망.
6.10 프란시스코 라고스 카자로(Francisco Lagos Chazaro) 대통령
1916년 엘 유니버설사(일간지) 창간
미국이 지원했던 판초비야가 배신하자 체포위해 미군 멕시코진군
1917년 멕시코 헌법 제정
(삼권분립, 노동의 대책,봉건적 토지소유<아시엔다> 해체규정)
조직 노동자 지원,소농육성,정교분리,섬유자원 국유화
엘셀시오(일간지) 창간
1920년 6. 1 아돌포 웨르타(Adolfo de la Huerta) 대통령
전 대통령 카렌사 피살
12. 1 알바로 오브레곤(Alvaro Obregon) 대통령(혁명군) 취임
멕시코의 고유 저항 벽화 미술 생성;
오브레곤→정부 건물벽에 그림 그리게 장려
미술가, 디에고 리베가등 활동.
1924년 12 1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Plutarco Elias Calles) 대통령
민족혁명당 창당(PNR); 북부 출신 혁명론자들과 개혁주의자로 구성
→20C.멕시코를 지배
1928년 12.1 오브레곤 재당선됐으나 대통령 취임전 피살
에밀리오 포르테스 길(Emilio Portes Gil) 대통령
1930년 2. 5 파스쿠알 오르티스 루비오(Pascual Ortiz Rubio) 대통령
1932년 9. 4 아벨라르도 로드리퀘즈(Abelardo L. Rodriquez) 대통령
1934년12. 1 라자로 카르데나스(Lazaro Cardenas del Rio) 대통령
인디언 출신대통령, 집단농장 창설, 노동자총연합(CTM) 결성,
석유 국유화. 외국인 소유기업 몰수하여 국유화
1936년 엘리아스 카에스 미국으로 추방
1937년 철도국유화
1938년 민족혁명당(PNR); 당명을 멕시코혁명당(PRM)으로 변경
석유국유화(pemex),미네랄 사용 판매독점;경제부흥에 도움
1940년 12. 1 마누엘 알빌라 까모초(Manuel Avila Camocho) 대통령
1946년 12. 1 미구엘 알레만 발데스(Miquel Aleman Valdes) 대통령
멕시코혁명당(PRM)을 제도혁명당(PRI)으로 개칭
1952년 12. 1 아돌포 루이즈 코르티네스(Adolfo Ruiz Cortines) 대통령
1958년 12. 1 아돌포 로페즈 마테오스(Adolfo Lopez Mateos) 대통령
1960년 동력자원의 국유화
1961년 발사스강유역 집행위원회 발족(위원장;카르데나스 전 대통령)
1962년 우리나라와 수교
1964년 12. 1 구스타포 디아즈 오르다스(Gustavo Diaz Ordaz) 대통령
1967년 라틴아메리카 군축회의 실시;비핵무장지대 설정조약(14개국 참가)
1968년 틀라텔로코의 대학살;시위대에 무차별 총격,
30여명사살→PRI당 독재의 참상
1970년 가족계획 홍보실시
1970년 12. 1 루이스 에체베베리라 알바레즈(Luis Ecbeverria Alvarez) 대통령
이후 10년간 민주체제가 뿌리 내리는 시기
1975년 세계여성대회 개최
→외채의 과도 도입(석유호황 배경으로)-국제유가 폭락,금리폭등하자
1976년 8월 IMF구제금융신청→유가폭등,물가폭등,페소절하
1976년 12. 1 호세 로페스 포르띨로 파체코(Jose Lopez Portillo Pacheco) 대통령
석유개발
1980년 국영기업의 민영화,시장의 자유화
1982년 모라토리엄 선언→석유개발을 기반으로 외채 끌여다 쓴 결과
재정의 부실과 80년대 후반 고환율 정책이 만성적자의 원인이 됨
1982년 12. 1 미구엘(Miguel de la Madrid Hurtado) 대통령
엘치촌화산 폭발(멕시코시티에서 남쪽 650㎞);
→지구 일조량의 20%를 일시적 감축
1985년 멕시코시티에 지진발생(700여명 사망)
1988년 12. 1 카를로스 살리나스(Carlos Salinas de Gortari) 대통령
시장개방,국영기업의 민영화,석유노조를 약화,석유파동 극복
1989년 무선전화 서비스 개통
1990년 옥타비오 파스(시인,수필가);노벨 문학상 수상
1991년 북한과 수교
대 달라 페소 환율-3.01 : 1
1992년 자파티스타(국가해방군)의 반란
미국,캐나다와 FTA 체결
1993년 사우다스 후아레스(연쇄살인사건)발생 실종자수 800여명,
2008년 까지 사건 계속.
1994년 북미 자유무역 협정체결(NAFTA);관세율 100%에서 20%로 하향
변동환율제 실시(페소화 방어 위해), 단기외채 남발-패소화 폭락
OECD 가입
1994년 12. 1 에르네스토 제딜로 폰세(Ernesto Zedillo Ponce de Leon) 대통령
민주화개혁 시도, 경제회복
1995년 태평양연안에 지진발생
IMF에 구제금융 재차 요청
1997년 대 달라 페소 환율- 8.53 : !
인테케이블사, 인터넷 서비스 실시
2000년 12. 1 빈센테 폭스(Vincente FoxQuesada),국민행동당(PAN)-
71년 만의 보수파 대통령 집권
남부 치아파스에서 사파티스타 원주민 농민들 반란
칼데론,국가개발은행총재
12월,외환위기; 미국.IMF의 구제금융으로 회생
※PAN(Partio de Accion National;국민행동당);
중도우익성향,중산층, 실업가.중심
PRI(Partio Revolucionario Institucional;제도혁명당);
1929년,국가혁명당(PNR).
1938년,멕시코혁명당(PRM) 을 거처
1946년,제도혁명당으로(PRI).→멕시코 혁명 이념을 계승하고,
중도- 좌우익 수용, 문화 개방정책을 추구한다
2003년 칼데론, 에너지장관 취임
2004년 석유수출 세계8위,문맹율 9%(1910년 77%)
2005년 원유 생산량 세계6위
3.23 북미안보번영공동협력 체결
2006년 펠리페 칼데론(Felipe de Jesus Calderon Hinojosa),대통령
→ 국민행동당(PAN) (변호사,친미)
PRI(제조혁명당)은 제3당으로 추락
프에블라 파나마 플랜(PPP)실시
중미지역 통합강화정책
쿠바,베네수엘라와의 관계 복원 노력
낮은 당선지지율로 인한 국내화합문제
2007년 옥수수가격의 폭등으로 인플레이션,임금 상승 압력
(미국의 대체연료 수요 급등 이유)
현 인구분포;메스티소(66%),원주민(30%),백인(9%)